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토요일의 서재]출판 편집자는 어떤 사람들일까

입력: ‘23-03-17 18:37 / 수정: ‘23-03-17 18:37
책을 쓰는 이는 저자지만, 책을 내는 이는 따로 있다. 바로 ‘편집자’다. 책 뒤에 숨어 지원만 하던 편집자의 시대는 갔다. 유튜브에서 책을 홍보하고, 개인 채널을 열어 독자와 직접 소통하기도 한다. 주말을 맞아 편집자를 다룬 책들을 서재에서 슬그머니 뺴왔다.

확대보기
▲ ‘편집자가 되기로 했습니다’ 표지. 책이라는신화 제공
‘편집자가 되기로 했습니다’(책이라는신화)는 편집자란 어떤 사람인지 알려주는 책이다. 35년이나 업계에서 일한 배테랑 편집자가 썼다. ‘편집’이라는 업무에 관해 차근차근 설명하고 ‘책 만드는 과정’을 세세하게 풀어준다.

독창적인 자기소개 쓰는 법, 면접에서 자신감을 드러내는 법, 편집 기초를 빠르고 정확하게 터득하는 법, 편집자에서 기획편집자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법, 날로 치열해지는 마케팅 기법에 접근하는 법, 누구도 범접하지 못할 나만의 장점을 겸비한 편집자 되는 법까지. 예비·신입편집자라면 반드시 보길 권한다.

저자는시대가 변하고 책의 형태가 달라져도 책은 여전히 ‘텍스트’로서 존재하고, 그 텍스트를 다루는 직업인 편집자에게 기본은 책 만드는 일이라고 말한다. 기본이 탄탄해야 책을 자신 있게 홍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확대보기
▲ ‘공부하는 일’ 표지. 민음사 제공
출판 현장에서 저자와 편집자는 어떻게 일하고 있을까. ‘공부하는 일’(민음사)은 학문과 일상을 연결하는 하는 이들을 다룬다. 인문잡지 ‘한편’ 편집자들이 동료들에게 잡지 편집과 단행본 집필 경험을 물었다.

문화연구자 김선기, 과학기술학 연구자 강연실, 미학 연구자 남수빈, 정치학 연구자 조무원,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자 김아미, 교통·철학 연구자 전현우가 자신의 일에 관해 이야기한다. 학술 출판의 어려움 속에서도 연구와 활동을 계속해 나가는 지식 생산자들의 특유의 활력이 느껴지는 인터뷰집이다.

확대보기
▲ ‘편집자의 시대’ 표지. 사계절 제공
출판강국 일본의 편집자에게서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도 좋겠다. ‘편집자의 시대’(사계절)는 20세기 후반 일본 인문 출판의 찬란한 시절을 담은 미스즈서방의 대표 편집자 가토 게이지의 유고 산문집이다.

그는 1965년부터 2000년까지 35년간 편집자로 일했다. 한나 아렌트의 ‘전체주의의 기원’, 카를 슈미트의 ‘현대 의회주의의 정신사적 지위’, 알레산드로 당트레브의 ‘국가란 무엇인가’ 등 무수한 명저를 편집했다.

함께 책을 만든 번역가들에 대한 이야기도 챙겨 읽어봄직 하다. 여러 일화를 따라가다 보면 편집자와 저자, 번역가가 함께 지적 토양을 일구어가던 20세기 후반 일본 지식인 사회의 열기를 확인할 수 있다.

김기중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산사에 흐르는 선율”…21일 삼척 천은사 음악회
    강원 삼척시는 오는 21일 미로면 내미로리 천은사에서 ‘전통 산사 숲속 음악회’를 연다고 18일 밝혔다.천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의 말사로 738년 창건됐고, 고려 충렬왕 때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저술한 곳으로 유명하다.2시간 동안 열리는 음악회에서는 조관우, 조장혁, 임지훈, 박강수 등 실력파 가
  • 평창 산골에 오케스트라 선율…계촌클래식축제 6일 개막
    계촌클래식축제가 오는 6~8일 강원 평창 방림면 계촌마을에서 열린다. 야외 음악제인 계촌클래식축제는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주최,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주관하는 문화예술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올해 11회째를 맞는다.축제 첫날인 6일 계촌별빛오케스트라가 개막을 알린다. 계촌초, 계촌중 학생으로 구성된 계촌별빛오케스트라는
  • 전 세계가 반한 천년축제…‘강릉단오제’ 막오른다
    음력 5월 5일 단오는 1년 중 양(陽)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해서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여겨졌다. 창포물에 머리 감기, 쑥과 익모초 뜯기, 부적 만들어 붙이기, 부채 선물하기 등의 풍속이 전해져 온다. 오늘날에도 단오날에는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그중에서도 강릉단오제는 규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