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 만에 돌아온 심보선 시인
네 번째 시집 ‘네가 봄에 써야지…’
광장 속 혐오 언어에 슬프고 화나
상처받는 과정서 새로운 것 보여
▲ 8년간의 침묵을 깨고 네 번째 시집 ‘네가 봄에 써야지 속으로 생각했던’으로 돌아온 심보선 시인이 24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를 위해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교정에 선 모습.
안주영 전문기자
말할 수 없기에 말하지 않는 것. ‘침묵’은 시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단어다. 하지만 부재에서도 현존을 느끼는 인간에게 때때로 침묵은 그 무엇보다 강력한 언어가 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침묵은 ‘말하지 않음’으로 말하는 것, 곧 시(詩)가 된다.
시인 심보선(55)이 8년간의 긴 침묵을 깼다. 네 번째 시집 ‘네가 봄에 써야지 속으로 생각했던’(아침달)으로 돌아왔다. “다시는 못 쓸 것 같았다. 다시 쓸 수 있어 기뻤다.”(‘시인의 말’ 부분) 예술과 사회의 관계에 천착하는 사회학자이기도 한 그는 현재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로 일하고 있다. 왜 쓰지 못했을까. 시집을 품에 안고 24일 그의 연구실로 향했다.
“가르치고 연구하는 일에 몰두하다 보니…. 제가 게을렀던 것 같아요. 오랜만에 쓰는 것이라 두려움도 컸고요. 그래도 써지더라고요. 전투를 치르듯이 이번 시집을 완성했습니다.”
그간의 침묵에 대해 시인은 이렇게 변명했다. 하지만 시인에게 침묵은 단순히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언어 뒤편에 있는 의미심장한 어떤 것. “나는 대체로 홀로 침묵 속에서 살아간다/침묵은 먼 곳으로 떠난 내가/이곳에 머무른 내게 전하는 안부이다”(‘삶은 나의 일’ 부분) 시인은 오래 침묵하면서 침묵의 정체를 집요하게 탐구한 듯하다.
“진실에 다가가서 그것을 드러내 말하고 싶지만, 나의 부족한 말주변이 그 진실을 오염시킨다는 두려움이 있죠. 시인에게는 늘 침묵에의 압박이 있습니다. 하지만 시인은 결국 말하기를 선택하죠. 그 말은 어눌하기도, 갈팡질팡하기도 해요. 논리적 기준에서는 헛소리처럼 들리기도 하죠. 그러나 이것은 시가 침묵을 다루는 방식입니다.”
시인을 밀어붙인 건 출판사와의 약속이었다. 올해 연구년을 맞아 비로소 시 쓰기에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다 지난해 말 별안간 비상계엄이 선포됐다. 이후 지난하게 이어졌던 혼란스러운 정국. 그래서일까. 이번 시집에서는 ‘분노’의 감각이 엿보인다. 표제작에는 이런 문장이 나온다. “영혼을 지닌 이들은/너무 슬픈 나머지/영혼의 존재를 믿지 않는다” 언젠가부터 시인의 머릿속을 맴도는 ‘영혼’. 하지만 광장에서 수없이 뿜어져 나오는 혐오의 언어들을 들으며 시인은 회의한다. 우리에게, 인간에게 영혼이란 건 과연 있는가. 회의는 분노로, 분노는 슬픔으로 이어진다.
“어떻게 저럴 수 있는가. 슬프고 화가 났어요. 인간에게 영혼은 없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그렇게 상처받는 과정을 되짚으니 새로운 게 보였어요. 슬퍼한다는 건 영혼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잖아요. 영혼을 지녀야만 슬퍼할 수 있기에, 그런 자만이 영혼이 없다고 믿게 되는 역설을 보이고 싶었죠.”
시인과 사회학자. 심보선을 이루는 여러 정체성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이다. 서로 다른 것 같지만 사실 둘은 긴밀하게 공명한다. 문학이나 사회학이나 결국은 읽고 쓰는 일. 가장 중요한 질문은 언제나 ‘인간’을 향한다. 인간을 둘러싼 조건들. 그것은 사회일 수도, 인간과 인간이 아닌 존재 사이의 관계일 수도 있다.
“나는 예술가 가족을 시기하지/나는 시인으로 살아가려고/홀로 분투해야 했거든” 기형도 시인의 명시 ‘질투는 나의 힘’의 제목을 그대로 따온 3부의 첫 시는 시와 시인이 무엇인지 끈질기게 물고 늘어진 결과물처럼 읽힌다. 시는 일이 될 수 없고 시인은 직업이 될 수 없다. 시인을 걱정하는 사람들은 시인더러 “시는 취미로만 쓰라”고 한다. 하지만 그래서 시는 더 매력적이다. 왜일까.
“시를 써서 먹고사는 건 쉽지 않습니다. 만약 돈을 받는다는 건 회사나 고객의 요구에 맞춰야 한다는 것인데…. 누군가의 주문에 맞춰서 제작한 시가 급진적일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겠죠. 시의 본질은 자유로움이니까요.”
오경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