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일필휘지로 써 내려간 詩…‘잘 죽는 것’이란 무엇일까

입력: ‘24-10-31 00:38 / 수정: ‘24-10-31 00:38

박찬일 추계예대 명예교수의 열 번째 시집 ‘기쁨의 총회’

확대보기
▲ 박찬일 추계예대 문예창작과 명예교수


“앞선 시집들과 질적으로 다른 것이 있어요. 이전에는 시를 ‘만들려고’ 노력했다면 이번에는 떠오른 시상을 일필휘지로 써 내려갔습니다. 시를 치장하고 장식하는 것에서 벗어나 심상을 있는 그대로 옮긴 것이죠.”

독문학자이자 시인으로 평생 시를 써 온 박찬일 추계예대 문예창작과 명예교수가 열 번째 시집 ‘기쁨의 총회’(예술가)를 펴냈다. 박찬일은 30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주제상으로 죽음이나 몰락에 대한 의식이 압도적이긴 하나 그럼에도 이 세계가 처해 있는 비관적인 현실이 시집 밑바탕에 깔려 있다”고 말했다.

확대보기
▲ 기쁨의 총회


“먼저 나의 죽음에 집중한 후 다음을 기약하자. 가장 중요한 죽음을 죽인 후[죽이면] 기왕의 죽음들은 거저다”(‘가장 중요한 죽음을 죽이자’ 부분·55쪽)

시인의 말대로 시집에는 ‘죽음’을 감각하는 심상이 다양하게 펼쳐진다. 시집의 제목에 ‘기쁨’이 들어가는 것과 일견 상반돼 보인다. 그러나 곱씹어 보자. 기쁨과 죽음은 과연 서로 대척점에 있는 것인가. 둘 다 그저 삶의 한 부분에 불과할 뿐 아닌가. 그는 “제가 시를 쓰는 건 이 세상에 비밀이 혹시 있다면 그것에 도달해 보고 싶기 때문”이라며 “결국 ‘잘 죽는 것’이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도 거기에 포함된다”고 했다.

박찬일은 연세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추계예술대 문창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시집 ‘나비를 보는 고통’(문학과지성사), ‘모자나무’(민음사), ‘북극점’(서정시학) 등을 펴냈다. 독일 시인이자 극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시집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 ‘검은 토요일에 부르는 노래’ 등을 한국어로 옮기기도 했다. 젊은시인상, 박인환문학상, 이상시문학상 등을 받았다.

2022년 정년퇴임한 박찬일은 현재 강원 횡성에서 지낸다. 여전히 강의를 열고 학생들과 만나기 위해 일주일에 한 번은 서울로 온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세상이 어지러운 가운데서 상처를 받았을 분들에게 ‘이런 식’의 돌파구도 있음을 제시해 줄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천안흥타령춤축제 문화체육관광부 ‘로컬100’ 후보 선정
    충남 천안시는 흥타령춤축제가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역문화진흥원 주관 ‘제2기 로컬100’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로컬100’은 지역문화에 기반을 둔 특색있는 문화자원 발굴·확산을 위해 전국 각지 200개 후보지 중 100개를 선정한다.대한민국 대표 춤축제인 ‘천안 흥타령춤축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하는 시민참여형
  • ‘반세기 여정’ 정선아리랑제 내일 개막
    강원의 대표 축제 중 하나인 정선아리랑제가 25일부터 28일까지 정선공설운동장을 중심으로 정선 일대에서 펼쳐진다.올해로 50회째를 맞는 정선아리랑제는 정선아리랑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계승·발전해 나가는 자리로 꾸며진다.아리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 무대와 군민들이 함께하는 아리랑 대합창으로 축제의 서막을
  • “천안을 문화 중심지로” 아라리오, 2000만원 발전기금
    김문수 대표 “천안흥타령춤축제 성공기원”충남 천안의 대표 향토기업 ㈜아라리오(대표이사 김문수)는 5일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 성공 기원을 위해 2000만원의 발전기금을 천안문화재단에 기탁했다.김문수 아라리오 대표이사는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중요한 책무”라며 “이번 기부로 천안흥타령춤축제가 더 많은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