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우아한 듯 열정적인 듯…닭의 춤사위에 빠져든다

입력: ‘22-01-21 10:56 / 수정: ‘22-01-21 10:58

강숙희 개인전 ‘닭-춤을 추다’

확대보기
▲ 강숙희, 닭-춤을추다, 202112, 90.9x72.7cm, Oil on canvas
서울갤러리가 개최한 제2회 전시작가 공모 선정작가 강숙희의 개인전 ‘닭-춤을 추다’가 오는 28일까지 서울신문사 1층 서울신문·서울갤러리 특별전시장에서 열린다.

강 작가는 ‘닭’을 소재로 한 그림을 즐겨 그린다. 그는 닭 그림은 그릴수록 점점 더 작품 속으로 빠져들게 되는 묘한 매력이 있다고 말한다. 이번 전시 ‘닭-춤을 추다’에서는 자유롭게 춤을 추는 듯한 닭의 모습을 그려냈다. 작품에서 나타난 한 쌍의 닭 커플은 어떻게 보면 ‘닭싸움’을 하는 것 같기도 하고 또 어떻게 보면 ‘탱고를 추는 연인’ 같기도 하다.
확대보기
▲ 강숙희, 닭-춤을 추다 202107-3,116.7x91cm, Oil on canvas
모든 작품에는 닭이 등장하지만, 작가는 전시마다 조금씩 새로운 방법으로 닭을 표현하고 있다. 닭을 주제로 그림을 그리던 초기에 작품에서 닭은 노끈에 묶여 있거나 닭장에 갇혀 있었다. 그러다 ‘마당풍경’이란 작품에서 표현한 ‘닭 가족’의 모습에서 작가는 문득 자신의 모습이 투영돼 보였다. 육아를 하면서 그림을 그리길 갈망하지만, 현실적으로 붓을 잡을 수 없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했다. 그 후 그림 속 닭들은 자유로운 존재로 변모해 갔다.

그는 “그림 속 ‘닭’이라도 자유롭게 날개를 펼칠 수 있게 하고 싶었다”며 “‘닭-날개를 펴다’에서 이제는 ‘닭-춤을 추다’로 내가 가진 꿈의 에너지를 맘껏 펼쳐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작품을 보는 모두가 2022년에는 춤을 추듯 꿈을 꾸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란다”며 전시를 찾는 관람객들에게 새해 인사를 전했다.

한편, 강 작가는 ‘닭-춤을 추다’ 연작을 계속 이어나갈 예정이다.
확대보기
▲ 강숙희, 닭-춤을 추다, 202107-2, 100x80.3cm, Oil on canvas
확대보기
▲ 강숙희, 닭-춤을 추다, 202107-1,162x112cm, Oil on canvas
자세한 전시내용은 서울갤러리 홈페이지(www.seoulgallery.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울갤러리는 서울신문이 운영하는 미술 전문 플랫폼으로, 다양한 전시를 소개하고 국내 작가들의 작품을 온라인으로 감상할 수 있다.

서울컬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반세기 여정’ 정선아리랑제 내일 개막
    강원의 대표 축제 중 하나인 정선아리랑제가 25일부터 28일까지 정선공설운동장을 중심으로 정선 일대에서 펼쳐진다.올해로 50회째를 맞는 정선아리랑제는 정선아리랑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계승·발전해 나가는 자리로 꾸며진다.아리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 무대와 군민들이 함께하는 아리랑 대합창으로 축제의 서막을
  • “천안을 문화 중심지로” 아라리오, 2000만원 발전기금
    김문수 대표 “천안흥타령춤축제 성공기원”충남 천안의 대표 향토기업 ㈜아라리오(대표이사 김문수)는 5일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 성공 기원을 위해 2000만원의 발전기금을 천안문화재단에 기탁했다.김문수 아라리오 대표이사는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중요한 책무”라며 “이번 기부로 천안흥타령춤축제가 더 많은
  • “산사에 흐르는 선율”…21일 삼척 천은사 음악회
    강원 삼척시는 오는 21일 미로면 내미로리 천은사에서 ‘전통 산사 숲속 음악회’를 연다고 18일 밝혔다.천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의 말사로 738년 창건됐고, 고려 충렬왕 때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저술한 곳으로 유명하다.2시간 동안 열리는 음악회에서는 조관우, 조장혁, 임지훈, 박강수 등 실력파 가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