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올해 누적 관람객 340만명 중앙박물관 “관람환경 개선 좀…”

입력: ‘25-08-01 15:47 / 수정: ‘25-08-01 15:47
확대보기
▲ 서울 용산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서울관 전경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폭염이 기승을 부린 지난 7월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은 관람객이 70만 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지난 7월 1~30일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 수는 총 69만4552명이라고 1일 밝혔다. 7월 관람객은 내국인 66만8792명, 외국인 2만5760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월별 관람객 수로만 보더라도 내·외국인 최다 수치다. 특히 지난해 같은 기간 전체 관람객 33만 8868명의 두 배를 훌쩍 넘는 수치다. 최근 넷플릭스의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를 비롯한 K-콘텐츠 흥행과 함께 초·중·고등학생들의 여름방학이 맞물리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박물관 측은 설명했다.

지난달 30일까지 집계된 연간 누적 관람객 수는 341만875명으로, 2024년 같은 기간 198만8395명보다 71.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국인 관람객은 187만2387명에서 328만7130명으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 현재 추세라면 조만간 400만명을 넘어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많은 관람객이 몰리면서 박물관 이용에 불편을 겪는 사례도 늘고 있다. 주말에 차를 이용해 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주차장과 주변 도로 정체가 극심하고, 전시관 내부에서도 관람객이 밀집하는 경우가 많다.

확대보기
▲ 유홍준 신임 국립중앙박물관장이 24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소감을 밝히고 있다. 2025.7.24


박물관 측은 “주차 안내 인력을 기존보다 확충했으며 박물관 입구, 야외 주차장 등에 혼잡도와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하는 안내 현수막을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또 “관람객 분산을 위해 어린이박물관을 국립중앙박물관 부지 내에 신축할 예정으로, 관람 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용역도 착수하고, 내년도 예산안에 관련 사업이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또, 지난달 20일 임명된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취임 직후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평일이나 수요일 야간 개관을 이용해 박물관을 방문해주시면 감사하겠다”며 “모두가 안전하고 쾌적하게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관람환경 개선과 안전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유용하 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산사에 흐르는 선율”…21일 삼척 천은사 음악회
    강원 삼척시는 오는 21일 미로면 내미로리 천은사에서 ‘전통 산사 숲속 음악회’를 연다고 18일 밝혔다.천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의 말사로 738년 창건됐고, 고려 충렬왕 때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저술한 곳으로 유명하다.2시간 동안 열리는 음악회에서는 조관우, 조장혁, 임지훈, 박강수 등 실력파 가
  • 평창 산골에 오케스트라 선율…계촌클래식축제 6일 개막
    계촌클래식축제가 오는 6~8일 강원 평창 방림면 계촌마을에서 열린다. 야외 음악제인 계촌클래식축제는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주최,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주관하는 문화예술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올해 11회째를 맞는다.축제 첫날인 6일 계촌별빛오케스트라가 개막을 알린다. 계촌초, 계촌중 학생으로 구성된 계촌별빛오케스트라는
  • 전 세계가 반한 천년축제…‘강릉단오제’ 막오른다
    음력 5월 5일 단오는 1년 중 양(陽)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해서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여겨졌다. 창포물에 머리 감기, 쑥과 익모초 뜯기, 부적 만들어 붙이기, 부채 선물하기 등의 풍속이 전해져 온다. 오늘날에도 단오날에는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그중에서도 강릉단오제는 규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