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복서가 ‘지식산문 O’ 시리즈
英 ‘오브젝트 레슨스’ 한국어판
평범한 사물의 흥미진진 이야기
작가 김영하가 설립한 출판사 복복서가가 평범한 사물들이 품은 흥미로운 이야기를 담은 ‘지식산문 O’ 시리즈를 선보여 눈길을 끈다. 복복서가는 영국 블룸즈버리 출판사의 대표적인 스테디셀러 ‘오브젝트 레슨스’ 시리즈에서 엄선한 책을 한국어판으로 국내 독자에게 선물한다. 미국 웨이크포레스트대 영어학과 수전 할런 교수가 쓴 ‘여행 가방’이 첫 권이다. 중세 유럽의 귀족들은 문장으로 장식된 커다란 상자(궤)를 가지고 여행했고, 대체로 나무나 가죽이나, 쇠로 만들어졌고 악천후나 도난 사고로부터 물건을 보호하기 위해 디자인된 상자였다. 할런 교수는 여행 가방(Luggage)의 어원, 문학 안의 은유, 제인 오스틴, 어니스트 헤밍웨이, 오르한 파무크 같은 작가들의 여행 가방과 얽힌 이야기들을 흥미진진하게 풀어놓는다.
미국 저널리스트 리베카 터허스더브로는 둘째 권 ‘퍼스널 스테레오’에서 개인이 혼자 즐길 수 있는 음향 기기에 관해 이야기한다. 개인 음향 기기라면 대부분 스마트폰을, 조금 더 거슬러 올라가도 MP3나 아이팟 정도를 떠올리지만 이 책은 ‘워크맨’에 관해 이야기한다. 2009년 영국 BBC는 워크맨 출시 30주년을 맞아 13세 소년에게 워크맨을 사용해 보고 소감을 말해 달라고 요청했다. 소년이 남긴 소감은 “아빠가 크다고 말했지만 그렇게까지 클 줄 몰랐어요”다. 그렇지만 워크맨은 처음 나왔을 때 혁신 기술의 표본이었고, 일본의 전자회사 소니를 세계적 기업 반열에 올려놓은 제품이다. 책장을 넘기다 보면 워크맨을 실물로 보지 못한 사람들마저도 그리움에 빠져들게 만든다.
문화역사학자 제인 타이넌의 쓴 ‘트렌치코트’는 제1차 세계대전의 참호에서 군용 외투로 탄생한 트렌치코트가 어떻게 탐정, 작가, 기자, 반항아, 예술가, 지식인의 내면을 투사하는 상징이 됐는지 8가지 주제를 통해 흥미진진하게 풀어낸다. 수많은 상징을 껴안은 이 옷이 패션계에서 여전히 클래식, 아이코닉, 필수품, 자연스럽게 멋진 등의 수식어를 획득하게 됐는지도 알 수 있게 된다.
유용하 전문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