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모차르트로 돌아오니 집에 온 듯”

입력: ‘23-03-15 02:06 / 수정: ‘23-03-15 02:06

피아니스트 손열음 간담회

17일 음반 발표… 5~6월 전국 공연
“협주곡 전곡 녹음 도전해 보고파”


확대보기
▲ 피아니스트 손열음이 14일 서울 서대문구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파이플랜즈 제공
“저한테 모차르트는 항상 집 같은 곳입니다. 지난 몇 년간 새로운 레퍼토리를 공부하고 찾아다닌 것도 좋았지만 모차르트로 돌아오니 집에 온 것 같아요.”

피아니스트 손열음(37)이 마음의 고향 모차르트와 함께 찾아온다. 오는 17일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곡 음반’을 발표한 후 서울, 강원 원주, 경남 통영(이상 5월), 광주, 대구, 경기 고양, 경남 김해(이상 6월)에서 소나타 전곡을 연주한다.

14일 서울 서대문구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만난 손열음은 “모차르트 소나타 한두 곡 정도 녹음해 볼까 하고 시작했다”면서 “통영에서 처음 녹음을 시작한 1월 27일이 모차르트의 생일이다. 운명인가 싶어 시도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보자 해서 전곡을 녹음하게 됐다”고 말했다.

진작부터 잘 알던 모차르트지만 이번에 녹음하면서 새롭게 보게 됐다는 그는 “예전과 달리 자유롭고 즉흥적으로 표현해 보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고 말했다. 이날 잠깐 선보인 연주 역시 중간중간 자기만의 즉흥성을 담아 표현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손열음의 공연은 4회 공연이 한 사이클을 이룬다는 점에서 흥미롭다. 서울·원주·서울·통영, 광주·대구·고양·김해가 짝을 이룬다. 서울 공연장 대관이 어려웠던 현실도 있지만 원주에서 살던 시절 공연에 목말랐던 경험이 이번 순회 공연의 계기가 됐다. 손열음은 “음향이 받쳐 주지 않는 곳은 저도 청중도 힘들어 음향이 좋은 공연장을 골랐다”고 말했다.

평창대관령음악제 음악감독으로 활동하며 또 다른 역량도 보여 줬지만 그가 가장 잘하고 싶은 건 언제나 피아노 연주다. “항상 아쉬우니까 조금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언젠가 모차르트 협주곡 전곡 녹음도 도전해 보는 게 꿈입니다.”

류재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천안흥타령춤축제 문화체육관광부 ‘로컬100’ 후보 선정
    충남 천안시는 흥타령춤축제가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역문화진흥원 주관 ‘제2기 로컬100’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로컬100’은 지역문화에 기반을 둔 특색있는 문화자원 발굴·확산을 위해 전국 각지 200개 후보지 중 100개를 선정한다.대한민국 대표 춤축제인 ‘천안 흥타령춤축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하는 시민참여형
  • ‘반세기 여정’ 정선아리랑제 내일 개막
    강원의 대표 축제 중 하나인 정선아리랑제가 25일부터 28일까지 정선공설운동장을 중심으로 정선 일대에서 펼쳐진다.올해로 50회째를 맞는 정선아리랑제는 정선아리랑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계승·발전해 나가는 자리로 꾸며진다.아리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 무대와 군민들이 함께하는 아리랑 대합창으로 축제의 서막을
  • “천안을 문화 중심지로” 아라리오, 2000만원 발전기금
    김문수 대표 “천안흥타령춤축제 성공기원”충남 천안의 대표 향토기업 ㈜아라리오(대표이사 김문수)는 5일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 성공 기원을 위해 2000만원의 발전기금을 천안문화재단에 기탁했다.김문수 아라리오 대표이사는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중요한 책무”라며 “이번 기부로 천안흥타령춤축제가 더 많은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