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홍혜걸-여에스더 “아직 폐암 아니라 간유리음영…소동 죄송”

입력: ‘21-06-09 08:21 / 수정: ‘21-06-09 08:21

“왼쪽 폐에 1.9㎝ 간유리음영…폐암으로 진행될 소지있다는 것”

확대보기
▲ 홍혜걸 여에스더
의학계 유명 부부 홍혜걸-여에스더 박사가 “홍혜걸은 폐암이 아니다. 너무 걱정하거나 동정하지 말라”며 정정에 나섰다.

홍 박사는 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췌장암 투병끝에 사망한 고(故) 유상철 전 인천유나이티드 감독을 애도하면서 자신도 “폐에 간유리음영이 나타나 휴양을 겸해 제주도에 내려왔다”고 밝혔다.

그는 “좌측 폐에 1.9cm 간유리음영으로 조직검사하면 백발백중 폐암이니 수술로 떼어내야한다”며 “최대한 지켜보면서 미루고 있다”고 했다.

이후 홍혜걸 박사를 폐암과 싸우고 있다는 말이 퍼져 나가자 여에스더 박사는 남편이 운영하는 의학 유튜브 채널 ‘비온뒤’에서 “남편은 왼쪽 폐에 1.9㎝ 간유리음영이 있을 뿐 정확하게 말하면 암이 아니다“며 임상적으로 폐암을 선고받은 건 아니라고 강조했다.

여 박사는 ”간유리음영은 대부분의 경우 조직 검사를 해보면 폐암세포(폐선암)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남편이 폐에 이 결절이 발견되고 폐암클리닉에 등록한 것”이라며 폐암으로 진행될 소지가 크기에 조심하고 있는 단계라고 했다.

여 박사는 간유리음영을 폐암으로 못 박을 경우 “간유리음영을 가진 분들이 공포가 굉장히 심하기에 홍혜걸이 폐암이라고 말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홍혜걸 박사도 다른 글을 통해 “간유리음영은 CT에서 나타나는 소견으로 혹이라기보다 부스럼 덩어리 정도로 엄밀한 의미에서 폐암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다만 “조직검사하면 대부분 암세포가 나오기에 저보다 훨씬 작은 크기의 간유리 음영도 서둘러 수술을 통해 떼어내는 경우가 많아 간유리 음영을 폐암의 초기 단계로 보는 이유”라면서 “주치의 교수님도 저에게 ‘폐암’이라며 관찰하다가 크기가 더 커지거나 암세포들끼리 둘둘 뭉치는 고형화 소견이 나타나면 언젠가 수술을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간유리음영이 폐암이라기보다는 적극적 치료를 할 이유가 있는 폐암초기 단계라는 설명이다.

이어 홍 박사는 “정말 생명을 위협받는 위중한 폐암 환자도 있는데 간유리음영 정도로 동정받을 이유도 전혀 없다”며 “뜻하지 않는 소동을 일으킨 것 같아 죄송하다”고 전했다.

이보희 기자 boh2@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천안흥타령춤축제 문화체육관광부 ‘로컬100’ 후보 선정
    충남 천안시는 흥타령춤축제가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역문화진흥원 주관 ‘제2기 로컬100’ 선정됐다고 21일 밝혔다‘로컬100’은 지역문화에 기반을 둔 특색있는 문화자원 발굴·확산을 위해 전국 각지 200개 후보지 중 100개를 선정한다.대한민국 대표 춤축제인 ‘천안 흥타령춤축제’는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하는 시민참여형
  • ‘반세기 여정’ 정선아리랑제 내일 개막
    강원의 대표 축제 중 하나인 정선아리랑제가 25일부터 28일까지 정선공설운동장을 중심으로 정선 일대에서 펼쳐진다.올해로 50회째를 맞는 정선아리랑제는 정선아리랑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계승·발전해 나가는 자리로 꾸며진다.아리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 무대와 군민들이 함께하는 아리랑 대합창으로 축제의 서막을
  • “천안을 문화 중심지로” 아라리오, 2000만원 발전기금
    김문수 대표 “천안흥타령춤축제 성공기원”충남 천안의 대표 향토기업 ㈜아라리오(대표이사 김문수)는 5일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 성공 기원을 위해 2000만원의 발전기금을 천안문화재단에 기탁했다.김문수 아라리오 대표이사는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중요한 책무”라며 “이번 기부로 천안흥타령춤축제가 더 많은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