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가을의 한국춤, ‘2023 춤&판 고무신춤축제’ 성공적 개최

입력: ‘23-09-26 14:17 / 수정: ‘23-09-26 14:17
확대보기
▲ 한국춤협회 제공
사단법인 한국춤협회(이사장 윤수미 동덕여자대학교 교수)가 주최한 ‘2023 춤&판 고무신춤축제’가 지난 9월 14일부터 23일까지 서울아트센터 도암홀과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옛 것이라는 의미의 고(古)와 춤의 무(舞), 그리고 새로움이라는 뜻의 신(新)이라는 조합어로 탄생된 ‘고무신춤축제’는 2011년 1회를 시작으로 올해 13회차를 맞이해 수도권 14개 대학의 한국무용단체가 참가했다. ‘고무신춤축제’는 한국춤의 주요세대가 될 젊은 춤꾼들이 한 자리에서 만나는 소통과 교류의 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축제는 9월 14, 15일 양일간 서울아트센터 도암홀에서 진행됐으며 1000여석의 극장을 매진시킬 정도로 많은 관심이 집중됐다. ‘고무신춤축제’에서는 궁중정재인 ‘춘앵전’부터 국가무형문화재인 ‘태평무’, 다양한 개성이 담긴 현대 한국창작춤까지 광범위한 작품들이 무대를 채웠다. 특히 14개 대학의 대표학생들이 모인 대학연합 프로젝트팀 컴바인은 개인이 세운 벽인 그리드를 허물고 타인과 마음을 나누는 뭉클한 내용을 담은 ‘합쳐진 하나의 그리드’를 공동안무작품으로 발표해 관객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했다.

‘춤&판(춤앤판)’은 한국전통춤의 다양한 작품들을 독무로 선보이는 한국춤축제로 9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진행됐다. 지난해에 이어 전통예술활성화를 위한 전문공연장인 서울남산국악당과의 공동주최로 진행된 ‘춤&판’은 국가무형문화재와 지방문화재 작품, 그리고 다양한 전통 레파토리를 선보였다. 이렇듯 한국춤협회는 ‘춤&판’을 통해 한국 전통의 정서가 담긴 새로운 작품들을 발굴하며 한국전통춤의 레파토리를 개발하고 있다. 27명의 전통춤꾼들의 땀과 노력이 담긴 무대는 관객들에게 한국춤의 희노애락, 흥과 같은 다채로운 감정을 전하기에 충분했다.

특히 23일에 진행된 초청공연은 현 이사장인 윤수미로 시작해 역대 이사장인 이미영, 백현순, 윤덕경, 임학선, 초대 이사장인 김매자까지 이어진 무대였다. 빠른 기간 안에 티켓이 매진될만큼 많은 관심을 받은 이번 초청공연은 한국춤협회의 역사와 상징, 그리고 소통을 한 자리에서 보여준 의미있는 공연이었다는 평을 받았다.

26일에 진행된 ‘2023 춤&판 고무신춤축제’ 좌담회에서는 ‘고무신춤축제’ 대학연합 프로젝트팀에 참여했던 대학생들과 ‘춤&판(춤앤판)’에 출연했던 한국춤꾼들이 만나는 자리였다. 일반적인 예술의 현장에서 직접 소통하기 어려운 다른 세대의 무용가들이 만나 중견 무용가는 예술세계 구축과 한국춤의 정통성에 관한 제안을, 신진 무용가는 현시대 젊은 예술인이 갖는 한국춤의 현시대적 시각 및 고민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한국춤협회는 이 자리를 통해 한국무용계의 세대 간 통합을 도모하고 세대별 한국춤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고 확립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2023 춤&판 고무신춤축제’는 젊은 차세대부터 중견, 원로까지 다양한 세대의 한국춤꾼들이 소통하고 교류하는 한국춤의 대표 축제로써 자리잡았다. 윤수미 한국춤협회 이사장은 “춤&판에 참여해주신 27명의 춤꾼들, 고무신춤축제에 참여해주신 각 대학에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며 “한국춤협회는 한국춤의 저변확대, 한국춤 레파토리 개발을 위해 앞장설 것이며 앞으로의 행보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유네스코 등재 10년’ 당진 기지시줄다리기…암수 100m 줄 제작 대장정
    올해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10년을 맞은 충남 당진 기지시줄다리기 축제에 사용될 길이 100m, 지름 1m가 넘는 큰 줄 제작이 시작됐다.당진시는 기지시줄다리기 민속축제에 쓰일 큰 줄 제작이 12~13일 진행된다고 밝혔다.큰 줄은 4월 10~13일까지 송악읍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과 기지시 틀못광장 일원에서 열
  • 새별오름 들불축제 백미 ‘오름 불놓기’ 알고보니… 수년간 산림법 위반
    새별오름에서 진행되는 제주의 대표적인 축제인 들불축제 ‘오름불놓기’가 감사결과 그동안 산림보호법을 위반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4일 제주도 감사위원회는 4일 제주들불축제 관련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제주시장과 애월읍장 등에게 3건의 행정상 주의조치를 했다고 밝혔다.감사위가 제주도의회와 정의당제주도당 및 제주녹색당에서
  • 경기도,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 개최···옛 경기도청 상권 활성화·ESG 실천
    경기도 ESG 담은 ‘2024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10월 12일~16일)경기도가 10월 12일부터 16일까지 수원시 팔달구 옛 경기도청사 일대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해 보물을 찾는 ‘리얼 트레저 페스티벌’에 앞서 10월 7일까지 참가자를 모집한다.‘리얼 트레저 페스티벌’은 옛 경기도청사 인근 지역 상권 활성화를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