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전시 자료 2배 이상 증가…새 단장한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가야실

입력: ‘21-12-03 16:32 / 수정: ‘21-12-03 16:32
확대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가야실 전면 개편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 1층 선사?고대관 내 백제실과 가야실 전면 개편 작업을 마치고 3일 새 모습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국립중앙박물관 백제실. 오른쪽에 보이는 큰 유물이 치미. 2021.12.3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국립중앙박물관은 상설전시관 1층 선사·고대관 내 백제실과 가야실 전면 개편 작업을 마치고 3일 새 모습을 공개했다.

전시 자료는 기존 354건 1000여 점에서 725건 2221점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고,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해 전시품을 확대하고, 유리와 조명 등을 교체해 전시 환경을 개선했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주목할 만한 유물로 꼽은 부여 왕흥사지에서 나온 대형 장식기와 ‘치미’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치미로 알려졌다. 왕흥사지 발굴조사를 통해 수습한 치미는 6세기 후반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유물은 함안 말이산 고분군에서 2015년 출토된 등잔이다. 말이산 고분군 등잔은 등잔 7개가 있는 굽다리 접시로, 형태가 독특해 학계 관심을 받았다.

또 백제가 한성에서 웅진(공주)으로 천도하기 전에 조성한 것으로 짐작되는 공주 수촌리 고분군 출토품 100여 점과 가야 무사의 갑옷, 칼, 마구(馬具·말갖춤)도 공개돼 눈길을 끌었다.

전시 환경 개선으로는 진열장 높이와 너비를 늘리고, 저반사 유리를 설치했다. 조명은 발광다이오드(LED) 전등으로 모두 교체했다.

백제실 입구 휴게 공간에는 공주의 한 마을에 있던 400살가량 느티나무로 만든 5.3m 길이 원목 탁자를 의자와 함께 배치했다.

양성혁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중앙박물관이 용산으로 이전한 뒤 두 번째 이뤄진 백제실·가야실 개편”이라며 “평면적이고 획일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입체적인 전시 기법을 도입하고, 백제와 가야 전체 역사를 주제별 전시로 보여주고자 했다”고 전했다.

서울컬처 cultur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반세기 여정’ 정선아리랑제 내일 개막
    강원의 대표 축제 중 하나인 정선아리랑제가 25일부터 28일까지 정선공설운동장을 중심으로 정선 일대에서 펼쳐진다.올해로 50회째를 맞는 정선아리랑제는 정선아리랑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며 계승·발전해 나가는 자리로 꾸며진다.아리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창작 무대와 군민들이 함께하는 아리랑 대합창으로 축제의 서막을
  • “천안을 문화 중심지로” 아라리오, 2000만원 발전기금
    김문수 대표 “천안흥타령춤축제 성공기원”충남 천안의 대표 향토기업 ㈜아라리오(대표이사 김문수)는 5일 ‘천안흥타령춤축제 2025’ 성공 기원을 위해 2000만원의 발전기금을 천안문화재단에 기탁했다.김문수 아라리오 대표이사는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것은 중요한 책무”라며 “이번 기부로 천안흥타령춤축제가 더 많은
  • “산사에 흐르는 선율”…21일 삼척 천은사 음악회
    강원 삼척시는 오는 21일 미로면 내미로리 천은사에서 ‘전통 산사 숲속 음악회’를 연다고 18일 밝혔다.천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의 말사로 738년 창건됐고, 고려 충렬왕 때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저술한 곳으로 유명하다.2시간 동안 열리는 음악회에서는 조관우, 조장혁, 임지훈, 박강수 등 실력파 가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