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 서울신문 페이스북
  • 서울신문 유튜브
  • 서울컬처 인스타그램
  • 서울신문 트위터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서울컬처 홈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네이버블로그

청년예술가 열정적 무대 ‘2021 청춘마이크 페스티벌’ 개최

입력: ‘21-11-15 15:24 / 수정: ‘21-11-15 15:24

20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한강 세빛섬에서 온·오프라인으로

확대보기
문화체육관광부와 지역문화진흥원은 2021 문화가 있는 날 ‘청춘마이크’ 기획사업에 참여한 청년예술가들의 열정적인 무대를 만날 수 있는 ‘2021 청춘마이크 페스티벌’을 오는 20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한강 세빛섬에서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개최한다고 15일 밝혔다.

올해 처음으로 개최하는 이번 행사는 ‘청춘, 빛나는 무대 위로’를 주제로 열린다. 이번 주제는 ▲청년이 주인공이 되는 무대 위로(on the stage) ▲청년예술가들이 전하는 무대 위 위로(慰勞) ▲청년예술가들의 성장, 한 단계 위로(step up) 등의 의미를 담았다.

‘청춘마이크’는 재능과 열정이 넘치는 대한민국 청년예술가에게 ‘문화가 있는 날’ 공연 무대에 설 기회를 제공해 청년들의 꿈을 키우고, 전문성을 갖춘 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가 있는 날’ 대표 기획사업이다.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269개 팀, 4655명의 청년예술가가 참여했으며, 전국 6906회 공연으로 123만 7642명의 국민과 만났다.

이번 축제는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방역 지침에 따라 온·오프라인으로 동시에 개최한다. 축제 현장에는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 완료자와 PCR 음성확인서 소지자에 한해 사전 예약 후 무료로 입장이 가능하다.

사전 예약은 네이버에서 원하는 시간대를 선택한 후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안전한 축제를 위해 현장에서는 거리 두기 좌석제, 현장 방역 관리 등을 철저하게 진행할 예정이다.

현장 방문이 어려우면 온라인 생중계되는 청춘마이크 유튜브 채널(www.youtube.com/c/청춘마이크)을 통해 관람할 수 있으며, 실시간 채팅을 통해 관객과 소통할 수 있다.

이번 축제에는 전국 청춘마이크 청년예술가 22개 팀, 전문예술가로 성장한 청춘마이크 졸업예술가 5개 팀의 공연을 비롯해 청년예술가들의 컬래버레이션 무대가 펼쳐진다.

2021 청춘마이크 청년예술가 공연은 ▲음악(대중음악, 클래식, 퓨전국악) ▲댄스·현대무용 ▲서커스·마술 ▲전통예술 등 4개 주제로 열린다.

지역문화진흥원 문화사업부 관계자는 “이번 청춘마이크가 청년예술가의 성장 발판 역할을 하는 대표 청년 축제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2021 청춘마이크 페스티벌’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공식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울컬처 cultur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지역 문화예술 이야기+
  • “산사에 흐르는 선율”…21일 삼척 천은사 음악회
    강원 삼척시는 오는 21일 미로면 내미로리 천은사에서 ‘전통 산사 숲속 음악회’를 연다고 18일 밝혔다.천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의 말사로 738년 창건됐고, 고려 충렬왕 때 이승휴가 ‘제왕운기’를 저술한 곳으로 유명하다.2시간 동안 열리는 음악회에서는 조관우, 조장혁, 임지훈, 박강수 등 실력파 가
  • 평창 산골에 오케스트라 선율…계촌클래식축제 6일 개막
    계촌클래식축제가 오는 6~8일 강원 평창 방림면 계촌마을에서 열린다. 야외 음악제인 계촌클래식축제는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 주최,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주관하는 문화예술사회공헌 프로그램으로 올해 11회째를 맞는다.축제 첫날인 6일 계촌별빛오케스트라가 개막을 알린다. 계촌초, 계촌중 학생으로 구성된 계촌별빛오케스트라는
  • 전 세계가 반한 천년축제…‘강릉단오제’ 막오른다
    음력 5월 5일 단오는 1년 중 양(陽)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날이라 해서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여겨졌다. 창포물에 머리 감기, 쑥과 익모초 뜯기, 부적 만들어 붙이기, 부채 선물하기 등의 풍속이 전해져 온다. 오늘날에도 단오날에는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그중에서도 강릉단오제는 규
  • 서울신문 CI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대표전화 : (02) 2000-9000
    •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